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웹 -> web application
클라이언트 주소를 쳐서
-> 네이버 서버에 요청
서버는 HTML로 응답하고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에게 화면을 보여준다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달라지는 동적 페이지
고정적인 정적페이지
ex) 정보를 담고 있는페이지
내용이 다른 여러 페이지들을 직접 하나하나 만들지 않고, Server 내의 프로그램을 통해 HTML 페이지를 만든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서버가 받아서 서버가 WAS에 다시 요청
이때 서버와 WAS의 중간에 CGI(Common Gateway Interface)를 통해 소통하고
WAS의 프로그램으로 HTLM이 만들어지고 서버에 전달 후 클라이언트에게 응답
Presentation Tier: css의 영역
Application Tier: 기능적 요소 처리(ex)사용자의 아이디 비번을 받아 DB와 비교하여 로그인하게 하는 기능)
Data Tier: 테이블 설계, 테이블간 관계 설정
3티어 구분
Presentation Tier -> Front-end
Application Tier, Data Tier -> Back-end (기능적)
JSP/Servlet을 쓰는 이유?
자바기반
전자정부 프레임워크의 기반기술
-> spring
멀티쓰레드
싱글쓰레드 일경우
각 작업마다 프로세스 하나씩을 할당해서 작업을 진행하고 메모리적 손실이 심하다. (대신 작업처리는 빠르다)
멀티쓰레드는 동일한 작업이면 같은 프로세스에서 작업을 진행, 메모리 효율이 높고 안정적이다.
Servlet의 특징
Servlet은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만든 Class파일이다.
MVC패턴에 최적화 되어 있다. -> 객체 지향적 프로젝트에 적합
Dynamic Web Project 만들때
Tomcat 9.0일때 -> 4.0 (Web Module Version)
8.5 -> 3.1
src/main/java에 -> java코드(ex. Servlet)를 만들고
아래 webapp에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페이지를 만든다. (ex. HTML/CSS/js/JSP)
Class대신
Servlet을 생성하고
설정은 다음 두개를 체크
해주면 된다.
'빅데이터 서비스 교육 > JSP 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지시자, 내장객체 (0) | 2022.05.10 |
---|---|
JSP 개념, 구성요소 (0) | 2022.05.10 |
JSP Servlet (0) | 2022.05.09 |
JSP/Servlet 데이터 전송 (0) | 2022.05.03 |
JSP/ Servlet 웹 동작 방식 (0) | 2022.05.02 |